법륜스님의 법문 214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20-2강 현대사회와 불교 - 두 번째

(~~ 제20-1강에서 계속) 태국의 불교 태국은 대표적인 불교국가로, 일반 국민들도 어릴 때 한 번씩 출가해 승려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전통도 잘 보존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식민지 지배를 한번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민족의식도 아주 강합니다. 태국의 왼쪽으로 버마와 인도는 영국의 지..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20-1강 현대사회와 불교 - 첫 번째

BC 6세기에 인도의 중북부지역인 갠지스강 유역에서 시작된 불교는, BC 3세기경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아쇼카 왕 때에는 스리랑카까지 테라밧다 불교가 전파되었습니다. 서쪽으로는 이란이나 멀리 그리스까지 불교가 전파되지만, 서양에서는 현지적응에 실패하는데, 소승불교가 아니..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9-2강 선불교 - 네 번째

(~~ 제19-1강에서 계속) 불립문자(不立文子): 기존 불교의 잘못을 타파하는 분명한 입장 교외별전(敎外別傳) : 선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입장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 : 선불교의 수행법 선의 주장은 간단히 이야기하면,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네 가지입니..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9-1강 선불교 - 세 번째

(~~ 제18-2강에서 계속) 대승불교도 초기에 일어날 때는 정통성을 인정 못 받고, 비불설이라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러자 부처님이 어리석은 대중을 위해서는 아함경을 설하셨고 대승보살을 위해서 대승경전을 설했는데, 지금은 때가 아니니 500년 후 대승보살이 출현할 때 내놔라 해서 지금..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8-2강 선불교 - 두 번째

(~~ 제18-1강에서 계속) 제4조 도신은 일곱 살에 출가하여 열네 살 되던 해 당시 여든 두 살이던 제3조 승찬을 만납니다. 도신 : 무엇이 불심입니까? 승찬 : 지금 네 마음은 어떠냐? 도신 : 저는 지금 마음이 없습니다. 승찬 : 네가 마음이 없는데, 어찌 부처님에게 마음이 있겠느냐? 도신 : (잠시 후) 제가 해탈할 수 있는 법문을 일러주소서. 승찬 : 해탈이라니, 누가 너를 묶었더냐? 도신 : (……) 아무도 묶지 않았습니다. 승찬 : 묶은 이가 아무도 없다면 너는 이미 해탈인이다. 어찌하여 다시 해탈을 구하는가? 승찬의 이 법문은 후대에 해탈법문으로 일컬어집니다. 이 해탈법문은 자신의 마음을 '묶은 자'는 다름 아닌 자신, 자기의 마음임을 정곡으로 파고들었다는 점에서, 달마의 '불편한 마음'..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8-1강 선불교 - 첫 번째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는 히말라야 산맥을 넘고 타클라마칸 사막을 지나서 중국에 도달하게 되고, 중국에 도달한 불교는 300년 가까이 한문으로 번역하는 작업이 이루어졌고, 승려들은 그 경전을 연구하고 분석하고 학습하는 일이 중요한 본분이 되는데, 거기에 소요되는 많은 재정은 주로 왕들이 제공하게 됩니다. 대승경전은 지식인들에게 새로운 학문으로 받아들여져 연구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일반 서민들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만 부르면 극락세계에 다시 태어난다는 정토종이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현세의 고통을 잊고 내세의 복을 구하는 새로운 전통이 생겨나게 됩니다. 또한 밀교의 전래로 갖가지 신비한 체험, 소위 신통력을 느끼는 경향도 나타나게 됩니다 교학 중심의 대승불교를 비판하면서 일어난 불교를 선(禪)불교라..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7-2강 대승불교의 전래 - 세 번째

(~~ 제17-1강에서 계속) 인도에서는 세월이 흐르면서 원시불교에서 소승불교, 대승불교, 밀교로 발달해 나갔지만, 중국에는 모든 불교가 동시대에 같이 들어왔으니, 중국 사람들에게는 그것들이 다른 불교로 인식되었습니다. 인도에서는 세월이 흐르면서 변해왔기에, 한 시대에 사는 사람..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7-1강 대승불교의 전래 - 두 번째

(~~ 제16강에서 계속) 중국은 2~4세기경 많은 승려들이 서역에서 들어오고, 그들에 의해 경전의 번역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이 시기동안 불교는 국가이념을 두고 도교와 서로 경쟁을 하는데, 왕이 도교를 믿으면 불교를 탄압하고, 반대로 개종을 하면 도사들을 다 죽여버립니다. 이런 ..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6강 대승불교의 전래 - 첫 번째

BC 6세기 경에 시작된 불교는 200여년 동안은 그 원형을 유지했지만, 지역이 넓어지고 신도가 많아지고 시대가 바뀌자 율의 적용에 있어서 의견차이가 생기면서, 원형을 고수하자는 상좌부와 좀 더 융통성 있게 현실에 적용하자는 대중부로 갈라지기 시작했고, 계속하여 나라와 지역에 따..

[법륜스님의 '불교의 역사'] 제15강 대승불교 사상 4

(~~ 제14강에서 계속) 중기 대승경전 : 세친보살의 글에 새롭게 등장하는 경전 AD 4세기경에는 세친(世親 Vasubandhu), 무착(無着 Asańga) 같은 위대한 학자들이 나타나 글을 많이 썼는데, 용수보살의 글에는 없다가 세친보살의 글에 새롭게 등장하는 경전들이 있습니다. 이 경전을 중기 대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