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설할 것이 없는 설법
비설소설분, 설하되 설한 바가 없다, 설한 것이 설한 것이 아니다 이런 뜻입니다.
수보리 여물위 여래작시념(須菩堤 汝勿謂 如來作是念) : 수보리여! 그대는 여래가
아당유소설법(我當有所說法) : ‘내가 마땅히 말한 바 법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지 마라.
수보리야, 너는 여래께서 이런 생각한다고 하지 마라,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실 때 ‘내가 법을 설한다’ 이런 생각을 한다고 하지 마라,
여기서 勿은 금지를 명령하는 단어입니다.
막작시념(莫作是念) : 그렇게 생각하지 말지니,
하이고 약인언(何以故 若人言) :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람이
여래유소설법(如來有所說法) : ‘여래께서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한다면
즉위방불(卽爲謗佛) : 이는 곧 부처를 비방하는 것이니,
불능해아소설고(不能解我所說故) : 내가 말한 바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莫도 뭐뭐 하지 마라는 뜻입니다.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십니다,
여래가 ‘내가 법을 설한바 있다’고 생각한다고 너는 그렇게 생각을 하지 마라,
여래는 법을 설하되 법을 설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 않다,
그것은 마치 물건이 거울에 와서 비치는 것과 같다,
만약 ‘부처님께서 법을 설한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 된다,
뭔가 의지를 가지고 행하면 행함 속에 흔적이 남게 되므로 그것은 이미 부처가 아닌 것이다,
즉 여래의 설하신 바 그 뜻을 알지 못하고 하는 말인 것이다.
서울 가는 길을 물으니 어떤 사람에게는 북쪽으로 가라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동쪽으로,
또 다른 사람에게는 서쪽으로 동쪽으로 서북쪽으로 동남쪽으로 가라고 대답을 한다,
부처님은 서울 가는 길을 천 가지는 알고 계시니 물을 때마다 맞게 대답해주시는 구나,
이렇게 생각하면 그건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 된다.
중생이 와서 아프다고 하니 부처님께서 오는 사람에게 전부 알맞은 처방을 내준다,
나는 죽어라 공부해도 백 개 알기가 힘든 데 부처님은 처방을 만 개도 더 아는 것 같다,
이렇게 생각하면 부처님을 칭찬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 된다,
그것은 부처님의 설한 바 뜻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부처님은 어떤 길도 정해놓은 바가 없고, 어떤 처방도 갖고 계신 것이 없습니다.
중생이 물으면 그가 서있는 위치 따라 동서남북이 되는 것이지 천 가지 길을 외워서 알려주는 게 아닙니다.
중생의 번뇌 따라, 중생의 근기 따라 그냥 길이 나오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한 법도 정해놓고 갖고 계시는 게 없고, 무슨 법을 설할까 정해놓은 것도 없습니다.
부처님은 어떤 처방전을 갖고 계시는 게 아니라, 그냥 그 병따라 처방이 나오는 것입니다.
수보리 여물위여래작시념, 수보리야, 여래가 이런 생각을 한다고 하지 마라
아당유소설법 막작시념 하이고, 내가 마땅히 법을 설한 바 있다 라고 생각한다고 하지 마라, 어찌한 까닭이냐
약인 언 여래유소설법, 만약에 어떤 사람이 말하되 여래가 법을 설한 바 있다고 하면
즉위방불 불능해아소설, 곧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 되는데, 부처님의 설하신 바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까닭이니라
수보리 설법자(須菩堤 說法者) : 수보리여! 법을 말한다는 것은
무법가설 시명설법(無法可說 是名說法) : 법을 가히 말할 수 없는지라 그 이름이 법을 말함이니라.
이시 혜명 수보리 백불언(爾時 慧明 須菩堤 白佛言) : 그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 파유중생 어미래세(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 세존이시여! 자못 중생들이 저 미래 세상에
문설시법 생신심부(聞說是法 生信心不) : 이 법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불언 수보리(佛言 須菩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여!
피비중생 비불중생(彼非衆生 非不衆生) : 저들은 중생이 아니요 중생 아닌 것도 아니니라.
여기서 혜명은 수보리의 한자식 이름입니다.
네가 자꾸 중생 중생 하는데, 사실은 중생도 아니고 중생 아닌 것도 아니다,
‘중생이랄 것도 없고 중생이라 할 것도 없다’는 말은 공하다는 뜻입니다.
그건 동산도 아니고 서산도 아니다, 동산도 아니지만 동산 아니라 할 것도 없다,
중생도 아니고 중생 아닌 것도 아니다,
한 생각 어리석게 내면 중생이라 부르고 그 사로잡힘을 놔버리면 중생 아니라 보살이라 부른다,
중생이 따로 있고 보살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한 생각 사로잡히면 중생이라 이름하고 내려놓으면 보살이라 이름하지 중생이니 보살이니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중생도 아니고 중생 아닌 것도 아니다.
하이고 수보리(何以故 須菩堤) : 왜냐하면 수보리여!
중생중생자(衆生衆生者) :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여래설 비중생 시명중생(如來說 非衆生 是名衆生) : 여래가 중생을 말함이 아니라 그 이름이 중생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여러분들도 너무 ‘나는 중생이다’라고 물러서는 마음을 내도 안되고, ‘나는 부처다’ 라고 교만해도 안된다,
늘 겸손해야 된다,
내가 아직도 어리석고 아직도 아는 것이 적다 이렇게 겸손해야 된다,
그러나 나는 부처님의 제자이고 나는 본래 부처다 하는데서는 당당해야 된다,
물질에 돈에 권력에 지식에 학벌에 성별에 피부색에 젊음에 기죽어서는 안된다,
눈꼽만큼도 기죽을 것 없이 당당해야 된다,
설령 정신대에 끌려가 수백 수천 남자가 내 몸을 스쳐 지나갔다 하더라도 나는 부끄러울 게 없다,
내 몸은 일점 일획도 더럽힐 수가 없다, 깨달음을 추구하는 자는 이렇게 당당해야 된다,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큰 집에서 작은 집으로 옮겼다고 해서 기죽을 필요가 없다,
쌀밥 먹다 보리밥 먹는다 해서 기죽을 필요가 없다,
옛날 스님들은 권력에 대해 심지어 왕에게도 기가 죽지 않았다,
얻을 게 있으면 기가 죽는데 솔잎 따먹고 사니 기 죽을 아무런 이유가 없었다,
이렇게 당당해야 합니다.
우리는 일체중생을 구제하라 하면 남을 구제하려 하는 데,
자기 속의 상을 깨트리는 것이 바로 일체중생을 구제하는 것이고,
일체중생이 내게 시비를 걸지 않는 것이 일체중생을 구제하는 것입니다.
제21분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제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설할 것이 없는 설법
수보리 여물위 여래작시념(須菩堤 汝勿謂 如來作是念) : 수보리여! 그대는 여래가
아당유소설법(我當有所說法) : ‘내가 마땅히 말한 바 법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지 마라.
막작시념(莫作是念) : 그렇게 생각하지 말지니,
하이고 약인언(何以故 若人言) :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람이
여래유소설법(如來有所說法) : ‘여래께서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한다면
즉위방불(卽爲謗佛) : 이는 곧 부처를 비방하는 것이니,
불능해아소설고(不能解我所說故) : 내가 말한 바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보리 설법자(須菩堤 說法者) : 수보리여! 법을 말한다는 것은
무법가설 시명설법(無法可說 是名說法) : 법을 가히 말할 수 없는지라 그 이름이 법을 말함이니라.
이시 혜명 수보리 백불언(爾時 慧明 須菩堤 白佛言) : 그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 파유중생 어미래세(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 세존이시여! 자못 중생들이 저 미래 세상에
문설시법 생신심부(聞說是法 生信心不) : 이 법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불언 수보리(佛言 須菩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여!
피비중생 비불중생(彼非衆生 非不衆生) : 저들은 중생이 아니요 중생 아닌 것도 아니니라.
하이고 수보리(何以故 須菩堤) : 왜냐하면 수보리여!
중생중생자(衆生衆生者) :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여래설 비중생 시명중생(如來說 非衆生 是名衆生) : 여래가 중생을 말함이 아니라 그 이름이 중생이기 때문이다.
'법륜스님의 법문 > 5.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24 복지무비분 (0) | 2018.08.28 |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22 무법가득분, 제23 정심행선분 (0) | 2018.07.30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20 이색이상분 (0) | 2018.07.26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19 법계통화분 (0) | 2018.07.24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18-3 일체동관분 (0) | 2018.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