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의 법문/4. 반야심경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35/36강 사사무애법계(화작, 보살)

상원통사 2015. 11. 2. 21:13

(~~ 제34강에서 계속)

 

그때야 원효대사는 대안대사가 한 말의 참뜻도 깨달았습니다.

대안대사는 지금 여기 마땅히 구제해야 할 중생을 두고 어디 가서 별도의 중생을 구제한단 말인고라고 했습니다.

원효대사는 그 때 거기 있는 천민들은 더럽다고 피하면서 무슨 중생구제에 보살행을 하느냐는 말로 알아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변복을 하고 나왔고 앞으로는 그들과 함께하며 그들을 구제하겠다는 원력을 세웠던 것입니다.

 

근데 방울스님과의 만남을 통해서 그 생각이 깨졌습니다.

동촌에 살고 있는 가난하고 비천한 사람들이 구제받아야 할 중생이라는 것은 원효의 생각이었을 뿐,

구제받아야 할 중생은 바로 명성과 권위라는 헛된 것에 사로잡혀 있던 원효 자신임을 깨우치게 되었습니다.

여기 지금 마땅히 구제받아야 할 중생이라는 것은 바로 그 경계에 부딪혀서 일으키는 원효의 분별심이었던 것입니다.

원효가 떨쳐버려야 할 것은 사람들에게서 받는 칭송과 명성과 권위라는 헛된 상()이었고,

그 분별 망상을 내려놔야 되는데 그걸 쥐고 어디 가서 수행하느냐는 질책이었던 것입니다.

 

그 천민촌은 구제할 바가 없는 곳이고, 방울스님은 도와줄 게 없었던 것입니다.

도와줄 바 없는 줄 알고 도와줘야 하고, 구제할 바 없는 줄 알고 구제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제 원효는 천민들을 구제하러 가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들의 친구가 되기 위해 나섭니다.

처음엔 중생이라 외면하고 가지 않았다가, 나중엔 중생인줄 알고 구제해주려 가려 했지만,

지금은 중생이 아니라 부처인 줄 알고 다가가려고 하니 이제 원효의 문제는 끝났습니다.

 

북촌의 천민들에게 원효가 돌아왔지만, 이번에는 또다른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들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들의 친구가 되러 갔는데 대중들은 원효대사를 하늘처럼 떠받듭니다.

그들은 원효는 큰 스님이라는 상을 갖고 떠받들어 버리니 원효는 그들과 친구가 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이 책임은 그 사람들한테 있는 것이지만 원효대사는 이것도 자기 문제로 봤습니다.

유명한 원효가 문제이니 그 유명한 원효를 버려야 되는데, 이것은 자기가 버린다고 버려지는 게 아니었습니다.

그것을 벗어 던지기 위해 원효는 승려에게 있어서 목숨과도 같은 계율을 파하게 됩니다.

그 껍질, 그 유명한 원효를 일순간에 버리는 길이 요석 공주와의 스캔들이었습니다.

스님이 공주와 잠자리를 같이 하여 아들을 낳았으니 그 유명한 원효는 하루아침에 박살이 나버렸습니다.

원효를 하늘처럼 떠받들던 사람들은 원효를 미친 놈, 파계한 놈으로 여기기 시작했습니다.

본인 스스로도 난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난 승려가 아닙니다, 그저 땅에 기어다니는 미물에 불과합니다',

이래서 엎드릴 伏자를 써서 '복성거사'라 스스로 칭하고 그냥 내려가 버렸던 것입니다.

 

우스꽝스러운 광대복장을 하고 사람들과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계율을 파하고 있는 원효에게,

사람들은 과거에 보냈던 찬사와 존경 대신에 손가락질과 비난을 퍼붓는 것은 당연했습니다.

동촌마을 사람들은 망가질 대로 망가진 원효를 높고 귀한 사람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과 비슷한 수준, 오히려 자신들이 보살펴 주어야 할 불쌍한 사람으로 생각하였기에,

그를 받아들이고 같이 살면서 도와주고 보살펴주고 진짜 친구가 되어주었습니다.

 

이 단계가 화작입니다.

‘리사무애법계가 유명한 원효의 시절이라면, 유명한 원효를 버려버린 시기는 사사무애법계의 시대입니다.

그는 물에 빠지지 않아야 된다가 아니고 물에 빠져서 그냥 조개를 줏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전에는 원효에게 가르침을 받았지만 지금은 가르침을 받는 게 아닙니다.

여러분들도 그럴 때가 있듯이 친구와 친구사이에서 그냥 깨우칠 뿐입니다.

 

가르치는 자가 있고 배우는 자가 있는 게 아니라, 가르치는 자도 배우는 자도 없는 세계에서 중생을 깨우쳐 나갑니다.

중생은 자기가 스스로 깨우쳤는지 누가 가르쳐줘서 깨우쳤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그 이후 원효의 행적은 사라져버리고, 원효가 누구인지 알 수도 없습니다.

원효가 부목질 할 때는 부목의 흉내를 내는 원효라고 하는 자아가 있었지만,

지금은 부목이 부목질을 하는 것이니 원효를 찾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인연을 따라 변하기에 원효라는 게 없어져버린 이것을 '화작'이라 합니다.

이곳 저곳 떠돌아 다니는 원효는 농사를 지으면 농부가 되고, 고기를 잡으면 어부가 되고,

술을 마시면 술꾼이 되고, 뱀을 잡으면 땅꾼이 되고, 소를 잡으면 백정이 되어버립니다.

짐짓 백정의 흉내를 내는 게 아니고 그냥 백정이 되어버리니까 표가 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가 농사꾼, 어부, 술꾼, 땅꾼, 백정이 되어 지나는 곳마다 이상한 일이 벌어집니다.

함께 술을 마시던 주정뱅이는 술을 끊게 되고, 도둑은 도둑질을 그만두고 이웃을 도와주게 되고,

싸움질만 일삼던 사람은 온순하고 착실하게 되고, 살생을 좋아하던 사람은 생명을 소중하게 보살피게 되고,

미움과 증오에 찬 사람은 어느새 사랑과 자비로 가득하게 됩니다.

더러운 진흙탕 속에서 그와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중생들은 자신의 연꽃을 피우게 되었고,

또한 더러운 흙탕물조차 깨끗하게 정화되었습니다.

 

이런 원효의 경지가 리사무애법계를 넘어선 사사무애법계, 화작(化作)의 경지입니다.

세상 사람들이 화작의 보살이 된 원효를 알아 볼 수 없기에 그 행적에 대한 기록이 공식적으로 남아있지 않지만,

우리나라 방방곡곡 어디를 가도 원효의 행적이 없는 곳이 없습니다.

원효는 자기를 버림으로 해서 수만의 원효가 이 세상에 남아있는 것입니다.

진흙탕 속에서 물들지 않는 한 송이 연꽃이 되는 게 아니라, 한 송이 연꽃을 피우는 진흙이 되었던 것입니다.

 

우리 눈으로 보면 사사무애법계에 있는 보살과 사법계에 있는 중생은 구분이 안됩니다.

그냥 농민이고 그냥 백정이고 그냥 도둑놈이고 그냥 부목일 뿐입니다.

원효가 부목질을 해야 원효가 부목질을 한 것을 알아볼텐데, 부목이 부목질을 하니까 그냥 부목일 뿐입니다.

 

화엄경의 마지막 세계, 보살이 도달해야 할 세계는 사사무애법계입니다.

반야심경과 금강경에서는 이사무애법계와 사사무애법계를 나누지 않고, 그냥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 했습니다.

 

불수자성(不守自性)   : 스스로의 성품을 지키지 않는다

수연성(隨緣成)        : 인연을 따라 이루어진다

화엄경을 축약한 법성게에는 불수자성 수연성(不守自性 隨緣成)이란 말이 나옵니다.

불수자성, 스스로의 성품을 지키지 아니한다, 이게 제법이 공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수연성, 인연을 따라 이루어진다, 보살은 중생의 세계에 화작을 하는 겁니다.

그러니 여러분 옆 사람도 보살이 화작한 것인지 중생이 업에 따라 끌려와서 사는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자장율사가 문수보살을 못 본 것도 경운국사가 보살을 못 본 것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우리들이 아상이나 법상같은 상을 지으면 보살을 볼 수가 없는 것입니다.

 

리법계사람은 티가 나니 알아 볼 수가 있습니다.

고기도 안 먹고, 술도 안하고, 결혼도 안하고, 산속에 머리 깎고 살고 있으니 표가 납니다.

리사무애법계의 사람은 우리와 같이 어울립니다.

우리와 똑같이 머리도 기르고, 같은 옷 입고, 같이 어울려 지내고 있으니 표가 안 나지만,

담배피우는 사람과 어울리면서도 안 피우고, 술 먹는 사람과 어울리면서 술도 안 먹고,

화내는 사람과 있으면서 화도 안 내니 자세히 들여다보면 물들지 않는다는 표가 납니다.

사사무애법계의 사람은 우리와 똑같은 차림을 하고 똑같이 어울립니다.

술 먹는 사람과 있으면 술도 앉아서 같이 먹고, 담배피우는 사람과 있으면 담배도 피우고,

화낸다고 맞대놓고 화도 내고, 길거리에서 깡패하고 싸움도 똑같이 하니 표가 안납니다.

그러나 술 먹는 사람하고 같이 술 먹고 있으면 그 술 먹는 사람이 스스로 술을 끊습니다.

우리는 술 먹는 사람을 따라 우리가 물드는데 저쪽이 이쪽으로 물드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사무애법계의 사람은 늘 민중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법상에 앉아야 할 자리 같으면 법상에 앉아 권위를 나타내고,

내려와야 할 자리는 내려오는 모습을 나타내고 이렇게 하는 겁니다.

 

여러분들은 사법계에 살고 있지만 깨달으면 단번에 사사무애법계로 갈 수도 있습니다.

사법계에서 리법계, 리사무애법계, 사사무애법계 이렇게 단계를 밟아서 가는 것이 아니라,

한 마음을 어떻게 내느냐에 따라서 바로 사사무애법계의 단계로 올라갈 수 있는 것입니다.

사법계에서 가장 쉽게 갈 수 있는 곳이 사사무애법계입니다.

하던 짓대로 하면서 여기에 걸림이 없으면 바로 가버릴 수가 있는 것입니다.

 

 

(제37강에 계속합니다 ~~)

 

 

 

이 강의는 '정토회 > 정토TV > 법문보기 > 반야심경강좌'에서 동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