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6강에서 계속)
우리는 어떻게 공부를 해야 될까요?
우선 술에 중독되었다면 술을 끊어야 되고, 담배를 피우고 있다면 피우지 말아야 하고,
남편한테 화를 내고 있다면 화를 안내야 합니다.
이렇게 출가승려와 같이 지켜야 될 것은 지키면서 ‘리법계’의 공부를 해야 됩니다.
그러나 내가 술을 안 먹는다고 상대에게 못 먹게 하고, 내가 화를 안낸다고 상대에게 못 내게 하고,
내가 검소하게 산다고 상대도 검소하게 사라고 해서는 리법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나는 지키되 다른 사람에게는 요구하거나 강요하지 않으며,
화내고 욕심내고 나를 미워하는 사람을 능히 이해하고 받아들이면 ‘리사무애법계’로 올라가는 겁니다.
‘리사무애법계’로 올라가면 내가 나를 위해서 할 일은 없어집니다.
옷도 음식도 명예도 더 이상 나를 위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상대에게 나를 위해 무엇을 해달라 할 것도 없습니다.
내 무거운 짐을 다 내려놓으니까 머리가 가볍고 어깨가 가볍고 발걸음도 가볍습니다.
그러다가 주위 사람이 무거운 짐을 지고 있으면 들어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쓰여야 합니다.
들어주세요 하면 들어주고, 돌려주세요 하면 돌려주고, 같이 먹자 하면 같이 먹고,
혼자만 먹겠다 하면 알았다 하는 것 같이, 중생을 위해서 중생의 요구에 수순해야 합니다.
중생을 위해서 필요한 건 뭐든지 하지만, 중생을 불쌍히 여겨서 하는 게 아닙니다.
내가 먹고 싶어서 먹는 게 아니라 그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는 술을 먹어줄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먹어주는 것과 그 핑계 삼아 먹고 싶어서 먹는 것은 완전히 다른 세계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남편과 싸우고 화가 나서 집을 나와 다시는 안 들어가겠다고 다짐하며 절에 왔다고 합시다.
그런데 여기 머물다가 마침내 깨우쳐 화작한 보살이 된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그것은 필요에 의해 쓰이면 되는 것입니다.
스님이 ‘절에 있으세요’ 하면 절에 일하면 되고, ‘연꽃 만드세요’ 하면 연꽃 만들면 됩니다.
그렇게 살고 있는데, 어느 날 한 남자가 찾아와서 아내가 필요하니 구해달라고 스님께 요청한다면,
여기 있는 보살 중에 그 남자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을 보내주는 게 제일 나을 것입니다.
그래서 ‘보살님이 저 집에 가세요’ 해서 예전에 자기가 살았던 집으로 그 남자를 따라 간다면,
그것은 집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보살행을 하러 가는 것입니다.
이제는 깨우쳤기에, 집에서 있던 자리는 다 끝난 것이고 불질러 버렸습니다.
자식도 남편도 다 태워버렷으니 내게 남아있지 않지만, 사람이 필요하다니깐 가주는 것입니다.
보살행을 하러 간 것이니 성심껏 아이도 키워주고 밥도 해주고 빨래도 해주고 청소도 해주고 아내노릇도 해주다가,
그 남자에게 다른 여자가 생기면 소임을 다 한 것으로 여기고 절로 돌아오면 됩니다.
이것은 내 욕구를 갖고 행하는 것이 아니라 집착없이 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이 오늘 집으로 돌아갈 때는 집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십시오.
집은 다 불살라 버리고, 자식도 남편도 부모도 불질러버립니다.
여기서는 아무 할 일이 없는데, 거기서 필요하다고 하니 보살행 하러 좀 거들어주러 갑니다.
가서 보고 필요 없으면 돌아오면 되고, 필요하면 몇 생을 거기 살아도 됩니다.
그게 화작입니다.
그럼 오늘로서 고는 다 끝나고, 이 세상은 더 이상 고해의 바다가 아닙니다.
중생에게는 끝없는 고해이지만, 보살행을 하는 보살에게는 고통의 바다가 아니라 정토입니다.
보살은 중생의 업을 먹고 살고, 중생의 업이 있어야 보살이 화작할 게 있습니다.
요구가 없으면 화작할 필요가 없지만 요구가 있을 때 화작을 하는 것은,
파도가 있고 바람이 불어야 보살의 배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앞으로 가야할 길이고, 이렇게 살면 누구와 살아도 힘들 일이 없습니다.
힘들 일 없다고 아무렇게나 하는 게 아니라 그 요구에 맞춰야 됩니다.
여러분들이 절에 와서 일할 때 아무도 자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도 섭섭해 할 필요가 없습니다.
필요하면 쓰이고 필요 없으면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근데 여러분들은 쓰자 하면 ‘나는 안돼!’ 하고, 가만 놔놓으면 ‘왜 나는 안 써줘?’라고 합니다.
내가 있음으로 해서 대중이 이로우면 내가 그 일을 하고, 다른 사람이 그 일을 하겠다면 나는 안 해도 됩니다.
그때 경쟁을 한다는 것은 그 일에 집착하는 것이고, 할 일이 있는데 안하는 것은 자기에게 집착하는 것입니다.
가정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도 갓난아이 때는 무조건 도와주어야합니다.
대여섯 살 되면 조금씩 자기가 알아서 하려하니 옆에서 지켜봐주어야 하는데, 계속 도와주려고 하니 반발하는 것입니다.
필요한 것만 도와주고 가만히 있어야 됩니다.
애가 그네를 타려할 때, 떨어질까 붙들고 있으면 탈 수가 없습니다.
그네 타게 놔두고 옆에서 지켜봐야 그네타는 법을 배울 수 있는 것입니다.
타다 떨어져 긁혀서 피가 나고 울더라도 못 본 척 하고 놔두면 울다가 그칩니다.
그러나 다리가 부러지거나 팔이 부러지면 그때는 업고 병원에 가야 합니다.
수행이란 가정생활이나 사회생활과 별도가 아닙니다.
남편과 자식과 같이 살면서 수행하고, 세상살이하고 정치하고 기업하면서 수행하는 것입니다.
종업원들을 위해서 내가 기업이라는 형식을 만들어 그들과 같이 노니는 것이라 생각하면 지금과는 다를 것이고,
수행삼아 어느 공장에 가서 노동한다 생각하면 월급 갖고 따지는 그런 노동자가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제가 옛날에 봉암사에 가서 부목으로 일할 때,
제 신분을 조실스님 외에는 아무도 모르게 하고 들어갔는데 금방 들통이 나고 말았습니다.
부목은 농땡이를 쳐야 부목인데 부목답지 않게 너무 열심히 했더니 들통이 난 것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나다’ 하는 걸 못 버리고 부목 짓을 하니까 그런 것입니다.
그것은 중생이 볼 때는 수행이 잘된 것이지만, 화작할 수 있는 경지의 공부로는 부족한 것입니다.
부목이면 부목다워야 되는데 부목이 부목답지가 못하고 수행자 흉내를 내니까 눈에 띄는 것입니다.
부목으로 화작하는 단계인데 너무 잘하려는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자기를 버린다는 게 그렇게 어려운 것입니다.
한번은 법당에 가서 저녁 예불하려고 꿇어 앉아있는데,
갓 들어온 행자님들이 법당 청소를 하다가 향로와 다기 그릇 위치를 바꿔버렸습니다.
두 행자가 오른쪽이다 왼쪽이다 다투기에, 제가 ‘행자님들 이렇게 놔야 돼요’ 라고 했더니,
‘아니, 부목이 어디 스님 하는 일에 간섭이야!’하고 고함을 지릅니다.
순간 속에서 이런 것이 탁 올라오는데 참았습니다.
나의 겉모습은 지금 중이 아니라 부목인데, 속은 부목이 아니라 중인 것입니다.
껍데기만 부목흉내를 하고 있으니 이 공부가 참으로 어려운 것입니다.
중질 하려면 중 모양을 하고 중질을 해야 하는데, 부목 모양을 하고 중질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말이 쉽지 화작이라는 건 쉬운 게 아닙니다.
고기 안 먹고 술 안 먹고, 계율 지키고 청정하게 살고, 욕심 안내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은 해보니 오히려 쉽습니다.
고상한 자기, 청정한 자기, 이걸 버리고 그냥 진흙탕에서 하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경허스님도 보면 역행을 많이 했습니다.
길거리 가다가 어느 날 여자 입을 탁 맞추다가 동네사람들한테 붙들려서,
몽둥이로 허리가 부러지도록 두들겨 맞으면서도 ‘히히히, 다 때렸나’ 합니다.
그렇게 되기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게 잘못하면 기행으로 되겠지만, 여기서는 기행을 얘기하는 게 아닙니다.
'사사무애법계'라는 것은 기행이 아니라 정말로 대중을 위해서 화작하는 삶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 세상 속에서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이고, 세상을 이롭게 하되 내가 이롭게 한다는 생각도 안 합니다.
내가 이롭게 하니 너희들 알아 달라 이런 생각도 안하게 됩니다.
보통 사람들은 회장자리를 좋아하고 회장하려고 기를 쓰지만,
수행 좀 한다는 사람은 회장이나 주지자리는 안하려 하는데 이건 자랑이 아닙니다.
화작의 단계에서는 중생이 회장이 필요하다면 회장을 하고 부목이 필요하다면 부목을 하고,
그만 하라면 그만하고 또 하라면 또 하고, 가라면 가고 오라면 오고 이렇게 되는 겁니다.
나 할 일 너 할 일, 이래야 되니 저래야 되니, 이런 생각을 다 놔버리고 살면,
이거야 말로 극락세계 용화세계가 따로 없고, 바로 여기가 극락세계이고 용화세계가 되는 것입니다.
이 강의는 '정토회 > 정토TV > 법문보기 > 반야심경강좌'에서 동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법륜스님의 법문 > 4. 반야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41/42/43강 대승의 입장에서 (0) | 2015.11.11 |
---|---|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39/40강 대중을 위해서 화작하는 사람 (1) | 2015.11.08 |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35/36강 사사무애법계(화작, 보살) (0) | 2015.11.02 |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32/33/34강 사사무애법계(원효) (0) | 2015.10.29 |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30/31강 사법계, 리법계, 리사무애법계 (0) | 2015.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