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 지견을 내지 아니하니
어떤 아는 견해도 내서는 안 된다, 한 생각도 일으키지 마라는 얘기입니다.
수보리 약인언(須菩堤 若人言) : 수보리여!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되,
불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부처님께서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을 설했다고 한다면
수보리 어의운하(須菩堤 於意云何) : 수보리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시인 해아소설의부(是人 解我所說義不) : 그 사람은 내가 말한 뜻을 알았다 하겠느냐?
불야 세존(不也 世尊)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시인 불해여래소설의(是人 不解如來所說義) : 그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 못합니다.
하이고 세존 설(何以故 世尊 說) : 왜냐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은
즉비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 아니라
시명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그 이름이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일체중생에게 불성이 있다’하면, 사실은 불성이라 할 것이 없고 그 이름이 불성이다 이렇게 알아야 되는데,
우리 몸속 마음속 어디에 부처의 성품이라는 구슬이 있는 줄 알고 찾아 헤맨다면 이것은 여래의 뜻을 알지 못한 까닭이다,
불립문자라 하니 불립문자라는 것이 있어서 불림문자라 하는 줄 알면 이것 또한 그 뜻을 알지 못하는 까닭이다,
불립문자라 할 것이 없을 새 불립문자라 이름한다, 이렇게 알아야 우리가 형상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까 어떤 견해, 어떤 집착, 어떤 상도 지어서는 안 된다.
수보리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須菩堤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 수보리여! 최상의 깨달음을 얻겠다고 마음을 낸 자는
어일체법(於一切法) : 일체 법에
응여시지 여시견 여시신해(應如是知 如是見 如是信解) : 응당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고, 이와 같이 믿고 이해하여
불생법상(不生法相) : 법상을 내지 아니할지니라.
이러느니 저러느니 하는 어떤 단정적 견해를 내어서도 안 된다,
어떤 상을 내어서도 안 되고 어떤 견해에 집착해서도 안 된다,
범소유상이 개시허망인 줄을 알아야 한다,
허망한 줄 알아야지 허망해야 된다고 견해를 내면 안 된다,
집착을 놔라 하면 집착을 놓아야지 라거나 집착을 놔야 된다 하는 견해를 일으키면 안 된다,
집착을 놔야된다 하는 견해를 일으키면 금방 괴로움이 생긴다,
왜? 집착을 놓지 못하는 자기를 보고 또 미워하게 되고,
집착을 놓지 못하는 남편을 보며 미워하는 분별이 생긴다,
집착을 놔라 하면 그냥 놔야지 '놔라'하는 견해를 일으켜서는 안 된다.
남편을 미워하지 마라 하면 미워하지 않아야 되는데
미워 안해야 된다 하는 견해를 일으키니 마음은 미워지고 미워는 안하려니 안할 수는 없고,
미워할 때는 미워하는 것만 괴로웠는데 이제는 미워하지 않아야 되는데 미워하는 그것까지 짐이 되어 또 괴로워한다.
우리가 수행한다고 절에 들어왔으면 상을 내려놓는 것을 배워야 되는데,
상을 놔야 된다는 또 다른 상을 지어가지고 그 잣대로 천지를 돌아다니면서 시비를 한다,
상을 놔야 되는 데 너는 놨냐 못 놨냐, 법이라는 상도 내어서는 안 된다
여시지 여시견 여시신해, 마땅히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고 이렇게 믿고 이해를 하여,
불생법상, 법이라고 하는 상도 내어서는 안 된다.
수보리 소언법상자 여래설(須菩堤 所言法相者 如來說) : 수보리여! 여래가 말한 법상이라는 것은
즉비법상 시명법상(卽非法相 是名法相) : 곧 법상이 아니라 그 이름이 법상이니라
법이라는 상도 내지 마라 하니까 법이라는 상은 있는 것이구나 이렇게 생각하면 안 된다,
법상이라고 말하지만 법상이라고 할 상도 없다,
이것이 진리다 라고 고집을 하니 법이라고 하지, 법이라고 하는 상도 실체가 없다,
한마디로 말하면 지견, 안다 이거다 저거다 하는 견해를 일으켜서는 안 된다.
제31분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 * * * * * * * * * *
제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 지견을 내지 아니하니
수보리 약인언(須菩堤 若人言) : 수보리여!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되,
불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부처님께서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을 설했다고 한다면
수보리 어의운하(須菩堤 於意云何) : 수보리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시인 해아소설의부(是人 解我所說義不) : 그 사람은 내가 말한 뜻을 알았다 하겠느냐?
불야 세존(不也 世尊)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시인 불해여래소설의(是人 不解如來所說義) : 그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 못합니다.
하이고 세존 설(何以故 世尊 說) : 왜냐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은
즉비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 아니라
시명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 그 이름이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須菩堤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 수보리여! 최상의 깨달음을 얻겠다고 마음을 낸 자는
어일체법(於一切法) : 일체 법에
응여시지 여시견 여시신해(應如是知 如是見 如是信解) : 응당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고, 이와 같이 믿고 이해하여
불생법상(不生法相) : 법상을 내지 아니할지니라.
수보리 소언법상자 여래설(須菩堤 所言法相者 如來說) : 수보리여! 여래가 말한 법상이라는 것은
즉비법상 시명법상(卽非法相 是名法相) : 곧 법상이 아니라 그 이름이 법상이니라
* * * * * * * * * * * * *
다음은 제32분입니다..
제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 상을 취하지 않으면 여여부동이라
드러난 현상에 사로잡히거나 집착하는 것은 존재의 실상을 보지 못 한다.
수보리 약유인(須菩堤 若有人) : 수보리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만무량아승기세계칠보(以滿無量阿僧祈世界七寶) : 무량아승기(한량없는) 세계에 가득한 칠보로써
지용보시(持用布施) : 보시할지라도,
무량아승지는 일천만을 104번 제곱한 수, 어머어마하게 큰 수를 말합니다,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큰 세계에 칠보로 가득히 채워서 보시를 행하더라도,
약유선남자선여인(若有善男子善女人) : 만일 선남자 선여인이
발보살심자(發菩薩心者) : 보리심을 일으켜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줄이면 ‘발보리심’이 되고 다시 줄이면 ‘발심’이 됩니다.
발심, 마음을 낸다, 최상의 깨달음을 얻겠다고 마음을 낸다,
지어차경 내지 사구게등 수지독송(持於此經 乃至 四句偈等 受持讀誦) : 이 경을 가지거나 내지 사구게 등을 수지 독송하여
위인연설 기복승피(爲人演說 其福勝彼) : 다른 사람을 위하여 연설하면 그 복이 저보다 승하리라.
어떤 사람이 깨닫겠다는 마음을 일으켜서 이 경을 지니거나 사구게 등을 받아지녀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설하여 준다면 그 복은 저 복보다 뛰어나다,
유위의 행, 함이 있는 행, 갖가지에 집착해서 행하는 것은 아무리 많이 하더라도
무위의 행, 함이 없는 행, 집착이 없고 걸림이 없는 행을 하는 사람의 공덕과는 비교할 수가 없다.
운하위인연설(云何爲人演說) : 어떻게 다른 사람을 위하여 연설하는가?
불취어상 여여부동(不取於相 如如不動) : 상에 취하지 않으면 여여하여 동하지 않으리라
남을 위하여 연설하면 한량없는 공덕이 있는데 어떻게 연설을 하는가?
법을 설할 때는 어떤 상도 취하면 안 된다, 법이라는 상도 취하면 안 된다.
신라 의상 대사가 지은 법성게(法性偈)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 법의 성품은 둥글고 두루하여 두 가지 모양이 없고,
제법부동본래적(諸法不動本來寂), 모든 법은 움직이지 아니하여 본래로부터 고요하다.
이 말이 그대로 정리된 게 불취어상 여여부동입니다.
불취어상, 어떤 상도 취하지 않으면
여여부동, 법 자체는 본래로 고요하고 본래로 청정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움직인다는 것은 깨끗하니 더럽니 해서 더러운 것을 깨끗한 것으로 만든다 이런 것을 말합니다.
하이고 일체유위법(何以故 一切有爲法) : 왜냐하면 일체 유위법은
여몽환포영(如夢幻泡影) : 꿈과 같고 꼭두각시와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으며
여로역여전(如露亦如電) : 또한 이슬과 같고 번개와 같으니
응작여시관(應作如是觀) : 마땅히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
여몽환포영, 꿈속에서는 갖가지 놀라고 기뻐하고 괴로워하고 슬플 일이 있지만 사실은 아무 것도 없다,
어떤 환영을 보게 되면 놀라고 괴로워하고 슬퍼하고 두려워하지만 사실은 아무 것도 없다,
물거품은 가득 찬 것 같지만 사실은 텅 비어있고 그림자에 뭐가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아무 것도 없다,
여로역여전, 아침에 이슬을 보면 나뭇잎마다 꽉 차 있는 것 같은데 조금 있다가 보면 없고,
번갯불이 번쩍번쩍하여 뭔가 있는 것 같지만 금방 사라져버린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이 말을 정확하게 비유를 들어 설명한 게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입니다.
이런 법문을 들으면 악몽을 꾸다가 확연하게 깬 것 같은 그런 기분을 느껴야 하는데,
여러분들은 그런 기분을 제대로 못 느끼니 아직도 긴가민가할 것입니다.
살다보면 어느 순간 내가 지난 30년 간 꿈속에서 산 것 같구나 이런 것을 깨닫게 될 때가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꿈에서 깨어 주변을 둘러 보면 보기에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아무렇지도 않은 것 같지만,
똑같은 남편 똑같은 자식 똑같은 셋방에서 사는데도 인생이 즐겁고 신나고 휘파람이 나오고 그렇습니다.
근데 이게 며칠 가냐가 문제입니다, 이게 가다가 없어지고 또 꿈속에 들곤 하거든요.
자기가 꿈속에 들면서도 꿈속에 든 줄 모르니까 약효가 떨어졌나 하는데 이건 약효가 아닙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사는 것이 마약에 중독된 것과 같습니다.
잠시 그 중독에서 벗어나면 건강한 생활을 하는 것이고, 다시 경계에 끌리면 중독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잠을 잘 때, 내가 잠에 들었으니 지금부터는 꿈이구나 이런 생각을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냥 잠들어 꿈꾸면 꿈속에 빠지게 되고, 그 꿈이 현실로 느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 꿈에서 깨는 것이 깨닫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정법으로 가는 지 안가는 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여기 와서 정법을 배웠다, 우리 절에 돌아가면 이러이러한 것을 바꾸자고 해야지,
이것은 법이라는 상, 깨달음이라는 상, 진리라는 상에 빠진 것입니다.
다른 절의 신도님들이 여기 법문을 듣고 돌아가서 시비거리가 생긴다면 그것은 법문을 잘못들은 것이고,
정토포교원에 다니면서 다른 절의 신도에게 뭔가 우월의식을 가지고 폼을 잡는 것도 법문을 잘못들은 것이고,
법륜스님은 존경하고 다른 스님은 존경하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법문을 잘못들은 것입니다.
일체 상을 떠나야 합니다.
전에는 오해를 했다가도 법을 바르게 깨치면 오해가 사라지게 됩니다.
전에는 수용을 못했다가도 수용하는 힘이 생겨야 정법으로 가는 것입니다.
법문을 듣고 가서 도리어 시비되는 게 많아진다면,
그것은 법이라는 또 하나의 상을 짓고, 정법이라는 칼을 들고 사람을 치러 다니는 것입니다.
불법은 남에게 적용하면 안 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그대로 자기에게 받아들이면 100% 진실이지만,
그것을 남에게 적용하는 것 자체가 이미 객관화 시킨 것이고, 상을 짓는 것입니다.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일체 함이 있는 모든 법은 다 꿈같고 환상 같고 물거품 같고 아지랑이 같은 것이고,
아침 이슬 같고 번갯불 같은 것이다, 응당히 이와 같이 봐야 한다,
이걸 한 마디로 말하면 제법이 다 공하다, 무상이고 무아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상이고 무아인 줄 모르면 일체가 괴로움이고,
법이 무상이고 무아인 줄 알고 깨닫게 되면 열반적정이 된다,
이것이 바로 삼법인의 가르침입니다.
불설시경이(佛說是經已) :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시기를 마치자
장로수보리 급제비구 비구니(長老須菩堤 及諸比丘 比丘尼) : 장로 수보리와 모든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 우바이 일체세간 천인아수라(優婆色 優婆夷 一切世間 天人阿修羅) : 우바새 우바이와 일체 세간 천인 아수라들이
문불소설 개대환희(聞佛所說 皆大歡喜) :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환희하여
신수봉행(信受奉行) : 믿고 받아들여 뜻을 받들어 행하였니라.
이 법문을 듣고 대중이 다 하나같이 환호를 하면서 기쁜 마음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받아 가지는 것만이 아니라 행하하기까지 하였다.
지금까지 17번에 걸쳐 금강경 32분을 모두 다 마쳤습니다.
* * * * * * * * * * *
제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 상을 취하지 않으면 여여부동이라
수보리 약유인(須菩堤 若有人) : 수보리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만무량아승기세계칠보(以滿無量阿僧祈世界七寶) : 무량아승기(한량없는) 세계에 가득한 칠보로써
지용보시(持用布施) : 보시할지라도,
약유선남자선여인(若有善男子善女人) : 만일 선남자 선여인이
발보살심자(發菩薩心者) : 보리심을 일으켜
지어차경 내지 사구게등 수지독송(持於此經 乃至 四句偈等 受持讀誦) : 이 경을 가지거나 내지 사구게 등을 수지 독송하여
위인연설 기복승피(爲人演說 其福勝彼) : 다른 사람을 위하여 연설하면 그 복이 저보다 승하리라.
운하위인연설(云何爲人演說) : 어떻게 다른 사람을 위하여 연설하는가?
불취어상 여여부동(不取於相 如如不動) : 상에 취하지 않으면 여여하여 동하지 않으리라
하이고 일체유위법(何以故 一切有爲法) : 왜냐하면 일체 유위법은
여몽환포영(如夢幻泡影) : 꿈과 같고 꼭두각시와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으며
여로역여전(如露亦如電) : 또한 이슬과 같고 번개와 같으니
응작여시관(應作如是觀) : 마땅히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
불설시경이(佛說是經已) :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시기를 마치자
장로수보리 급제비구 비구니(長老須菩堤 及諸比丘 比丘尼) : 장로 수보리와 모든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 우바이 일체세간 천인아수라(優婆色 優婆夷 一切世間 天人阿修羅) : 우바새 우바이와 일체 세간 천인 아수라들이
문불소설 개대환희(聞佛所說 皆大歡喜) :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환희하여
신수봉행(信受奉行) : 믿고 받아들여 뜻을 받들어 행하였니라.
'법륜스님의 법문 > 5.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의 '금강경'] 금강경을 마치며 (0) | 2018.09.20 |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30 일합이상분 (0) | 2018.09.17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29 위의적정분 (1) | 2018.09.14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28 불수불탐분 (0) | 2018.09.02 |
[법륜스님의 '금강경'] 제27 무단무멸분 (0) | 2018.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