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의 법문/4. 반야심경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제17강 무상, 무아, 공

상원통사 2015. 9. 23. 22:32

오온(五蘊) : ····(····)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 관세음보살님께서

행심반야바라밀다시(行深般若波羅蜜多時)          : 깊이 반야바라밀다 수행을 하실 때에

조견 오온개공(照見 五蘊皆空)                       : 오온이 모두 공하다는 것을 깨달으시고

도 일체고액(度 一切苦厄)                            :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셨습니다.

 

오온은 곧 이며 일체이니, 오온개공이란 가 공하고 일체가 공하다는 얘기입니다.

또 오온은 색····식이니, 색도 공하고 수도 공하고 상도 공하고 행도 공하고 식도 공한 것입니다.

오온이 모두 공하다는 말은 오온의 그 하나하나에 실체가 없다, 무아(無我)

오온의 그 하나하나는 영원불멸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무상(無常)하다는 말입니다.

오온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나만의 나, 단독의 나, 독립된 나, 변하지 않는 나, 영원한 나, 그런 것이 아닙니다.

오온개공이란 오온은 변하는 것이니 영원불멸성이라는 것은 없는 것이고,

무엇인가의 결합으로 이루어졌으니 단독자라고 할만한 실체가 없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실체도 없고 변하는 것이 오온이니 그것을 공이라 한 것입니다.

 

() : 모든 감각기관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모든 것(감각)

그럼 오온(····)에 대해서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우리가 이라고 말할 때 가장 좁은 범위에서는 눈이 보는 어떤 색깔을 말하지만,

조금 더 넓힌다면 눈에 보이는 모양과 형상을 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더 넓히면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코로 냄새 맡고, 혓로 맛보고, 느끼는 감촉,

즉 육근이 감각하는 모든 것들을 색이라 합니다.

 

그러므로 색은 바로 물질세계라 말할 수도 있습니다.

물질세계란 우리의 오감으로 느껴지는 것들뿐만 아니라 파동도 소리도 빛도 그 일부분입니다.

이렇게 오온에서는 모든 감지되는 바깥의 대상을 색이라고 합니다.

·····법에서의 색은 눈에 보이는 대상으로서의 형체와 빛깔을 말하지만,

오온에서의 색은 우리가 감각하는 바깥세계의 모든 것, 우리의 정신작용을 제외한 모든 것,

즉 우리들의 육체까지도 포함한 것으로 물질로 이루어진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색이라 합니다.

 

(물질)에는 그 색을 이루고 있는 근본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바다에 모래가 아무리 많아도 하나하나가 다 다른 개별적 존재로 보이고,

구더기가 아무리 바글바글 하더라도 하나하나가 다 다른 개별적 존재로 보이고,

이 세상에 사람이 아무리 많아도 한 사람 한 사람이 다 다른 개별적 존재로 보입니다.

여기서 개별적 존재란 하나하나가 다 독립되어 있으며,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처럼 물질세계는 얼른 보면 하나하나가 다 개별적 존재고 변하지 않는 것 같은데,

긴 시간동안 살펴보고 주위와의 관계를 자세히 들어다보면 그것은 변하는 것이며,

그것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의 결합으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생물은 생로병사(生老病死), 물질은 성주괴공(成住壞空), 정신은 생주이멸(生住異滅)

생물을 보면 지금 현재 이 모양으로 변하지 않을 것 같지만, 긴 시간을 관찰해보면 생로병사하고,

물질도 영원한 것 같지만 긴 시간을 관찰해보면 성주괴공, 모양이 만들어지고 유지되다가 깨어져서 없어지고,

우리들의 생각도 영원한 것 같지만, 한 생각이 일어나서 머무르다가 흩어져 사라져버립니다.

이렇게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다 변합니다.

 

또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게 없고 다 연관되어 있습니다.

물은 수없이 많은 물방울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물 한 방울은 수많은 원자의 결합, 즉 수소와 산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산소나 수소 원자는 양성자, 중성자, 중간자, 전자와 같은 소립자로 이루어져 있고,

그 소립자라는 것도 또 더 작은 쿼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 몸은 10조개가 넘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세포 하나하나는 또 많은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물질 하나하나는 수없이 많은 분자로 이루어져 있고, 그 분자는 또 수많은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무상(無常, 시간적 관점) + 무아(無我, 공간적 관점) = ()

어떤 사물이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불변의 요소이지만,

변화한다면 그것은 영원한 게 아니라 무상(無常, 항상 똑같지 않음)한 것이 됩니다.

또 공간적으로 홀로 존재한다면 그것은 단독적 요소()’가 되지만,

무엇인가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것은 실체가 없는 무아(無我)가 됩니다.

근본교리에서는 이렇게 무상과 무아라 했지만, 대승불교에서는 합하여 공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럼 실제의 물질세계가 정말 공한 것인지 시간적으로도 공간적으로도 관찰해봐야 하는데,

먼저 시간적 관점에서 관찰을 해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의 모습이 똑같은 것 같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우리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를 이루고 있는 세포들은 하나가 떨어져 나가면 다른 세포가 거기 채워지고 있습니다.

마치 자동차 부속 갈아 끼우듯이 세포차원에서 그렇게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변하고 있지만 짧은 순간의 변화이기에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극히 미세한 변화일지라도 변한다는 것은 똑같지 않다,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찰나무상(刹那無常) : 짧은 시간의 순간적 변화

일기무상(一期無常) : 일정기간을 통해 변화

우리 몸의 세포처럼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변하는 것을 찰나무상이라 하고,

오랜 시간 관찰해보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을 일기무상이라 합니다.

저 산이 변하지 않는 것 같지만 긴 시간을 두고 보면 변하는 것이 확실하고,

저 태양도 변하지 않는 것 같지만 긴 시간을 두고 보면 늙어 없어질 것입니다.

수명이 길어야 백 년 정도인 우리의 눈으로 볼 때는 태양이 영원해 보이지만,

우주적 관점에서 보면 1백억 년이라는 태양의 수명도 유한한 것입니다.

하루살이가 보면 우리 인간은 영원히 사는 것 같고 변하지 않는 것 같을 것이고,

소립자의 세계에서 볼 때는 하루살이의 하루라는 시간도 영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원하다는 말도 관찰자의 시각에서 볼 뿐이지, 실제로 영원한 것은 없고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그러니 색은 공한 것입니다.

 

 

(제18강에 계속합니다 ~~)

 

 

 

이 강의는 '정토회 > 정토TV > 법문보기 > 반야심경강좌'에서 동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